마트에 가서 물건을 사려고 한다. 진열되어 있는 많은 물건들 중 어떤 것을 카트에 담을 것인가?
여기에는 많은 기준이 있을 수 있다. 최저가격인 것 또는 유통기한이 긴 것, 아니면 브랜드가 유명한 것 등 나름의 기준으로 물건을 고를 것이다. 그런데 한 달 생활비가 빠듯한 주부들이라면 가장 우선적으로 '싼 것'에 눈이 가기 마련일 것이다.
주식투자를 통해서 돈을 버는 방법은 사실 아주 간단하다.
'주가가 낮을 때 즉, 값이 쌀 때 사서 주가가 높을 때 즉, 값이 비쌀 때 파는 것'이다.
그런데 마트에서 물건을 살 때와 주식을 살 때는 큰 차이점이 있다. 마트에서 물건을 살 때는 그냥 숫자 비교만 하면 된다. 2,000원짜리 라면 1봉지와 3,000원짜리 라면 1봉지를 두고 무엇이 더 싼 것인지 고민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딱 보면 아는 것이니까.
그런데 주식은 그렇지 않다.
'삼성전자' 주식이 액면분할을 하기 전에는 한 주당 200만원이 넘었었다. 그런데 액면분할 후 현재는 한 주당 45,000원대이다. 금액으로만 절대 비교하자면 엄청나게 싸졌다. 과연 그럴까? 당연히 전혀 아니다.
시가총액은 그대로이니까 말이다. 시가총액은 '주가 X 발행주식수' 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주식을 100주를 발행했는데 주가가 10,000원이라면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만원이다. 그런데 발행주식수를 1,000주로 늘리고 주가가 1,000원이 되었다면 어떨까? 그래도 시가총액은 100만원으로 동일하다. 회사의 가치는 변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니 주가만 보고 '어? 삼성전자가 200만원에서 4만원이 되었네. 엄청 싸졌다.' 하면 절대절대 안 되는 것이다.
그러면 주식이 싸다는 것은 뭘 보고 판단해야 할까?
이럴 때 참고하는 지표가 바로 PER(주가수익비율)이다.
PER은 '현재 주가가 기업의 주당순이익(EPS : Earnings Per Share)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PER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주가가 100,000원이고 주당 순이익이 10,000원이면 이 기업이 PER은 10배이다. 그런데 이 기업이 다음 해에도 주가가 100,000원이었는데 주당 순이익이 5,000원 밖에 안 된다면 PER은 20배로 높아진 것이다. 또는, 순이익은 10,000으로 그대로였는데 주가가 200,000이 되어도 PER은 2배가 된다. 어떤 경우든 간에 지난 해에 이 기업이 낸 이익에 비해 비싼 값에 거래되고 있으니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기업과 기업 간 비교이다. A 기업의 주가가 100,000원이고 주당 순이익이 10,000원이면 이 기업이 PER은 10배이다. 다른 기업 B는 주가가 500,000원이고 주당 순이익이 10,000원이라면 이 기업의 PER은 50이다. A와 B 기업이 같은 수익을 내고 있음에도 B는 A에 비해 5배나 높은 값에 거래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 B는 A보다 고평가되었다고 한다. 다시 말해, 비싼 것이다.
A와 B 두 기업의 다른 조건이 거의 같다면 어떤 주식을 사는 것이 좋을까? 주식에서는 어떤 것도 100% 장담할 수는 없으나 PER이 10배인 기업이 50배인 기업보다 주가가 오를 확률이 높다. 주가는 결국 그 회사의 가치에 수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PER이 낮다고 해당 기업이 무조건 저평가 되어 있다고 속단하여 주식을 매수해서는 안 된다.
관심을 두고 있는 기업의 동종 기업들의 평균 PER과도 비교를 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PER이 낮은 이유가 무언가 큰 결함이 있어서가 아닌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PER은 현재 저평가 되어 있어서 앞으로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예상되는 종목을 고를 때 참고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이지 마트에 있는 물건 값처럼 절대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면 PER이 어느 정도가 되면 적정한가?
이건 사람마다 다르니 뭐라고 딱 정할 수 없지만 2019년 3월 기준 KOSPI 상장기업 PER 평균이 10.13이니 보수적으로 기준을 정한다면 평균 미만의 기업에 관심을 두고 종목을 찾아볼 수 있겠고, 좀 더 넓게 잡는다면 10~15 정도에서 골라볼 수 있을 것이다. PER이 20을 넘어가는 기업의 경우는 PER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주가가 충분히 올라갈 수 있는 요인이 확실히 있는지 신중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재테크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가 망해도 본전은 건질 수 있나? - PBR(주당순자산비율) (0) | 2019.04.23 |
---|---|
보통주? 우선주? (0) | 2019.04.18 |
시가총액이란? (0) | 2019.04.16 |